SSH Key 생성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SSH Key를 생성하여 서버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원격 접속을 하려면 서버가 필요하겠죠?

그 부분은 제가 포스팅을 해 놓았으니 이 포스팅을 먼저 보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현재 윈도우 10 환경이며 원격 접속할 환경은 ubuntu 16.04입니다.

먼저 저는 윈도우에서 리눅스 명령어를 지원해 주는 git bash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생성합니다.

ssh-keygen -t rsa

-t 란 어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는지 정할 수 있는 옵션인데 

디폴트로는 rsa로 생성이 됩니다.

명령어 입력시 1. 파일위치 지정, 2. 비밀번호 3. 비밀번호 확인이 뜨는데

Enter로 모두 스킵하면 기본위치에 비밀번호 없이 key가 생성이 됩니다.

이후 

cd ~/.ssh

기본위치일 경우 위와같이 명령어를 치고 이동을 하면 

.ssh 디렉토리 아래에 id_rsa(개인키), id_rsa.pub(공개키),known_hosts 파일이 생성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key가 생성이 되었습니다.

이 것을 가지고 서버에 id_rsa.pub 키를 넘겨주게 되면

간단하게 원격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서버에 원격 접속하기


이제 리눅스 서버에 접속 한 후 위와 같이

ssh-keygen -t rsa

명령어로 키를 생성 해 줍니다.

그리고 .ssh디렉토리 안에 파일을 하나 생성해 줄겁니다.

vi authorized_keys

이 파일 안에는 로컬에서 생성하였던 id_rsa.pub(공개키)를 집어 넣게 됩니다.

여기까지 완료하셨으면 이제 접속테스트만 남았습니다.

ssh 사용자계정@원격서버ip:포트

위와같은 커맨드로 간단하게 원격 서버에 접속하였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Docker를 주제로 한 포스팅을 할 계획입니다.


AWS EC2 무료서버 만들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aws에서 제공해 주는 무료서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진행 과정에 필요한 것은 아마존 계정과 public IP, 그리고 포트포워딩인데 

다음과 같이 천천히 따라오면 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아마존 계정이 있다는 가정하에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계정에 접속하면 카테고리 > 서비스에 컴퓨팅 리스트가 있습니다

그 중 EC2를 선택합니다.



그 후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 EC2 서버를 생성할 것입니다.



저는 Ubuntu 16.04 버전을 이용해 진행을 하겠습니다.

다른 ami를 원하시면 그걸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저는 1년동안 무료로 제공해 주는 t2.micro를 선택했습니다.



저는 이미 만들어진 key가 있어서 진행이 스킵 됐지만

이 후 Key Pair 및 다운로드를 해야합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Create a new key pair" 항목 선택
  • Key pair name 입력
  • [Download key Pair] 버튼 클릭 해 다운로드(*.pem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이 *.pem 파일을 통해 최초로 putty로 접속 할 수 있습니다.

절때 분실하면 안되기 때문에 따로 저장소에 백업을 해 놓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인스턴스 구성을 마친 후 대쉬보드로 돌아와 public IP를 받고,

아래와 같이 원하는 포트로 포트포워딩을 합니다.

포트 포워딩은 이전 포스팅을 해 놓았기 때문에 따로 적진 않겠습니다.



이렇게 간단히 aws 무료 리눅스 서버를 생성해 봤습니다.


그리고 저는 putty로 접속하는 것을 굉장히 귀찮아 하기 때문에

최초 putty로 접속 후 로컬 ssh key를 서버 ssh에 등록하여 사용을 합니다.

다음 포스팅은 ssh-keygen을 이용하여 터미널로 간단히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P Port forwarding하기


프로젝트 진행 중에 익숙한 환경인 ubuntu가 필요해서 무료제공인 AWS EC2를 썼고, 

고정아이피를 받아 사용 서버에 연결을 시켰습니다.

그리고 외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거나 제공해 주기 위해 포트 포워딩을 설정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유기 서버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야한다.


공유기 Port forwarding 하기


1. 공유기에 접속 > 2. 관리도구 > 3. 고급설정 > 4. NAT/라우터 관리 >

5. 포트포워드 설정 [ 내부IP = 서버 내부 IP지정 ] [ 외부 포트, 내부 포트 설정 ]


AWS Port setting


'일단 aws에 가입이 되어있다, ec2 서버를 생성하였다'를 전제로 설명하겠습니다.

처음 아마존 서버를 만들고 인스턴스메인에 접속하면 왼쪽 네비게이션 바에

보안 그룹이라고 적혀있는 곳을 들어갑니다.


그리고 상단에 보안 그룹 생성버튼을 누르면 규칙을 정하면 됩니다.

사용자 지정 tcp와 원하는 포트를 적고 ip를 지정한 후 규칙에 추가를 하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제가 지정한 그룹 규칙입니다.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포트를 뚫어 놓은 모습입니다.




이와 같이 aws에서는 포트포워딩을 손쉽게 할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Key 생성하기 - 서버에 원격 접속하기  (2) 2018.06.29
AWS EC2 무료 리눅스 서버 만들기  (0) 2018.06.28

+ Recent posts